-
일식과 월식?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요?천문학 2021. 3. 6. 21:35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일식과 월식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각각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우리가 일식, 월식 등 천문현상을 볼 수 있는 이유는 태양과 달 지구가 모두 '둥글기'때문입니다. 실제로, 고대에 사람들은 지구가 평평한 모양으로 생겼을거라 생각했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월식 때 달에 생기는 지구의 그림자가 둥글다는 이야기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일식은 무엇일까요?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위치를 보자면 태양 - 달 - 지구 순으로 되어 있어서 우리가 하늘을 보면 달이 서서히 태양을 가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종류로는 개기일식, 금환일식, 혼성일식, 부분일식이 있으며 태양의 오른쪽부터 가려집니다. 일식은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이 짧은 편에 속합니다.
일식의 종류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것을 말하며, 부분일식은 달이 태양의 일부분만 가리는 것을 말합니다. 금환일식은 달이 태양과 완전히 겹쳐지는 선상에 왔음에도,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 태양면의 전부를 가리지 못해서 반지 모양으로 가려지는 것을 말합니다. 지역에 따라서 개기일식과 금환식이 각각 관찰된다면 이를 혼성일식이라고 합니다.
월식은 무엇일까요?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으로, 위치는 태양 - 지구 - 달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월식의 종류에는 개기월식, 부분월식, 반영식, 반영 개기식이 있으며 달의 왼쪽부터 가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식에 비해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이 길다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월식은 달의모양이 '보름'모양일 때 일어나며 1년에 2번 정도 일어나는, 일식보다는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일식은 특정 지역에서만 관측이 가능하지만 월식은 지구 어디서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월식의 종류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때 달은 검붉은 색으로 빛나게 됩니다. 부분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일부만 들어가는 것인데, 보름달 모양이 아닌 모습으로 보이게 됩니다. 일부만 들어가서겠죠? 반영식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지나가는 것인데, 이때는 달의 밝기만 약간 어두워지고 모양은 거의 그대로입니다. 반영 개기식은 가장 희귀한 월식인데 달이 지구 반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러한 월식을 우리가 자주 접하게 되는데, 가장 많이 들어본 것은 '슈퍼문'일 것 같네요.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해서 가장 크고 밝게 보이는 경우입니다. 블루문은 한 달에 1번 뜨는 보름달이, 한달에 2번째로 뜨게 되는 경우를 말하니다. 블러드문은 지구 그림자 속으로 달이 완전히 가려져 붉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은 일식과 월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일식은 자주 일어나지 않고, 또 특정 지역에서만 볼 수 있기에 더 특별한 느낌인데요. 일식을 보러 떠나는 여행도 굉장히 재밌을 것 같습니다. 다들 밤하늘의 달을 자주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의 탄생과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1) 2021.03.07 우주의 빅뱅 이론 (0) 2021.03.06 꼬리를 가진 천체, 혜성에 대해 알아보자 (1) 2021.03.05 밤하늘을 수놓는 별들의 탄생과 소멸 (0) 2021.03.05 블랙홀, 미지의 세계를 알아보자. (0) 2021.03.04